[문화산책 068] Here I am Lord / 주여! 여기에 제가 있나이다! Here I Am, Lord!/ 주여! 여기에 제가 있나이다! /문화산책68 / By Priscilla Daniel O'Donnell의 노래를 들으며 잠시 다음과 같은 생각에 잡깁니다. 주님이 부르시는 소명 (Calling)그 거룩한 땅에서ㅡ 우리는 과연 주님께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주님이 부르시는 것이 확실하다면,우리는 더이상 망서릴 것도 없이 오직 주님을 의지하여 이를 의심치 않고 한발 한발 인도하심 따라 나아가야할 것이겠죠?! 오! 하나님ㅡ저희 또한 이미 보내주신 보혜사 성령님을 오직 의지하고, 보내시는 땅 (Sending Area) 에서...부르심에 응답하는 저희가 되길 원합니다. 하오니 부르심의 때에, 쟁기를 메고 뒤돌아 보지 않게 하소서! 주님만 의지하고 약속을 부여잡으며 한 순간 이라도 의.. 더보기 [문화산책 067] By the Rivers of Babylon / 바벨론 강가에서! By The Rivers of Babylon! / 바벨론 강가에서! / 문화산책67 / By Priscilla The Melodians 의 노래를 듣고 있자니 구약의 히브리인들의 애환이 느껴지네요! 시편 126편을 보면 이스라엘 백성들이 포로 생활을 마치고 돌아와 감격하여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를 전능 자이신 하나님께 올려드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벨론 강가에서 그들이 오죽 감격하여 눈믈을 흘리며 기뻐했겠습니까? "여호와께서 시온의 포로를 돌리실 때에 우리가 꿈꾸는 것 같았도다. 그 때에 우리 입에는 웃음이 가득하고, 우리 혀에는 찬양이 찼었도다. 열방 중에서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저희를 위하여 대사를 행하셨다 하였도다. 여호와께서 우리를 위하여 대사를 행 하셨으니 우리는 기쁘도다. 여호와께서 우리의 .. 더보기 [문화산책 062] Feelings / 느낌들! Feelings /느낌들! / 문화산책62 / By Priscilla 오늘 소개 해 드리는 곡은 1975년 '모리스 엘버트'의 히트곡 입니다.. 특히 유럽과 동양권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던 곡이죠. 감미로운 노래를 들으면서 사랑의 감정은 수시로 변할 수 있음을 먼저 전제로 생각 해 봅니다. 사실상 인간은 불완전 하기에 사랑의 감정과 느낌이 한 순간 잘못 판단 할 수도 있고 실수를 저지를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느낄 수 있는 희노 애락, 슬픔과 연민, 환희와 고통, 만족과 공허함, 열정과 냉정 사이에서 방황하고 고뇌 하는 것...등이 사랑하기에 뒤 따라 오는 여러 감정을 실제로 맛 보기도 합니다. 가사 도중에 이런 말이 있죠. '차라리 당신을 만나지 않았다면 다시 돌아오지 않을 당신 사랑의 감정은 당신을.. 더보기 [재미있는 성경상식 003] 잃어버린 아들2 잃어버린 아들의 비유2/재미있는 성경상식3[누가복음 15장] / By Esther 세 번째 비유 – 잃어버린 아들2 앞서 살펴 본 비유들은 잃어버렸던 생명을 도로 찾음으로써 기쁨으로 막을 내리는 반면, 마지막 세 번째 비유는 독특하게 진행됩니다. 아버지는 돌아온 아들을 위해 큰 잔치를 베풀어 줍니다. 특별한 날, 또는 귀한 손님을 위해 잡는 ‘살진 송아지’가 준비되고 악기와 많은 사람들이 함께 춤을 추며 기뻐하는 대 규모의 잔치. 살진 송아지는 귀한 손님 뿐 아니라 다른 이들도 초대되어 넉넉히 기쁨을 나누는 행사입니다. ‘풍류와 춤’은 가족 외 많은 인원이 모임을 나타내며 이는 가족범위가 아닌 큰 규모의 잔치였음을 알려줍니다. 마침, 하루 일과를 마치고 돌아오는 형이 궁금해 하다 자초지정을 알고 무척 화.. 더보기 [재미있는 성경상식 002] 잃어버린 아들1 잃어버린 아들의 비유1 /재미있는 성경상식2 [누가복음 15장] / By Esther 잃은 아들 (11-32) '잃어버린 죄인에 대한 아버지의 사랑'이란 주제의 마지막 비유 ‘돌아온 탕자’로 잘 알려진 이 이야기를 처음 접했을 땐 다른 무엇보다도 예의 없고, 철 없는 이로 각인되었던 아들이었습니다. 혼전까지 부모의 보호 아래 있는 한국 문화를 배경으로는 본다면 불효 막심! 이겠지만 이스라엘, 특히 예수님 시대를 배경으로 일어난 일이라면 이야기는 좀 달라집니다. 이 시대 아버지는 생전 자식들에게 적당한 재산을 선물로 주곤 했으며, 맏아들일 경우 다른 아들들의 두 배를 받도록 되어있었습니다. (신 21:17) 특히, 재산 상속은 아버지 임종이 임박할 때 행해졌으므로 둘째 아들은 형 몫 이외 나머지인 1/3을..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